2025/07/20

13. Swift 동시성(Concurrency): 비동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서는 앱의 안정성을 높이는 오류 처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죠. 오늘은 앱 개발에서 사용자 경험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개념, 바로 동시성(Concurrency)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앱을 사용하다 보면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거나, 큰 파일을 처리하는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들이 있습니다. 이런 작업들을 메인 스레드(UI를 담당하는 스레드)에서 직접 처리하게 되면, 앱이 멈추거나 '버벅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 경험을 해치게 됩니다. 동시성은 이러한 시간을 많이 소모하는 작업을 메인 스레드와 별도의 스레드(혹은 태스크)에서 비동기적으로 실행하여,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계속 반응하도록 유지하는 기법입니다. 리스트 항목에서 이미지를 로딩하는데, 하나씩 로딩하면 리스트 보여주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됩니다. 이것을 별도의 스레드로 동작시키면, 조금 느리게 나오지만 리스트 이동하는 것에는 느려짐 없이 동작할 수 있게 됩니다.

Swift는 과거 콜백 기반의 복잡한 비동기 코드에서 벗어나, async/await와 액터(Actor)를 포함한 강력하고 현대적인 동시성 모델을 제공합니다.

12. Swift 오류 처리(Error Handling): 견고한 앱을 만드는 필수 요소

12. Swift 오류처리 썸네일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서는 코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설계도,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며 Swift다운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이해했습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만드는 앱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만들어 줄, 바로 오류 처리(Error Handling)에 대해 깊이 파고들 것입니다. 🛡️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예를 들어,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열려고 하거나,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거나, 유효하지 않은 입력값을 받거나 하는 경우들이죠. 이러한 상황을 적절하게 처리하지 않으면 앱이 강제로 종료(크래시)되어 사용자 경험을 심각하게 해칠 수 있습니다. Swift는 이러한 오류(Error) 상황을 우아하고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2025/07/19

11. Swift 프로토콜(Protocol): 규약을 정의하고 기능을 확장하는 설계도

11. Swift 프로토콜(Protocol) 썸네일 이미지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서는 인스턴스를 안전하게 생성하고 해제하는 초기화(Initialization)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죠. 오늘은 Swift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하며, Swift를 더욱 Swift답게 만드는 핵심 개념인 프로토콜(Protocol)에 대해 깊이 파고들 것입니다.

프로토콜은 마치 건축물의 '설계도'와 같습니다. 실제 건물을 짓기 전에, 어떤 구조를 가지고 어떤 기능을 해야 할지 미리 약속해두는 것처럼, 프로토콜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타입이 갖춰야 할 요구사항(규약)을 정의합니다. 클래스, 구조체, 열거형은 이 프로토콜을 '채택(Adopt)'하여 설계도에 명시된 요구사항을 실제로 구현합니다.

프로토콜을 통해 우리는 코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다형성(Polymorphism)을 구현하는 데 상속보다 더 강력하고 안전한 대안을 제공합니다.

10. Swift 초기화(Initialization): 인스턴스를 안전하게 생성하는 법

10. Swift 초기화 썸네일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는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는 상속에 대해 알아보았죠. 오늘은 우리가 만든 클래스, 구조체, 열거형 같은 타입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 즉 초기화(Initialization)에 대해 깊이 파고들 것입니다.

초기화는 단순히 객체를 '만드는' 과정을 넘어, 인스턴스가 사용되기 전에 모든 저장 프로퍼티가 적절한 초기 값을 가지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Swift의 강력한 타입 안전성 원칙의 핵심이며, 여러분의 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오류를 미리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025/07/16

9. Swift 상속(Inheritance):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는 방법

9. Swift 상속(Inheritance):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는 방법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는 객체의 속성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와 동작을 정의하는 메서드에 대해 알아보며 클래스와 구조체를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방법을 익혔죠. 오늘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이자 코드 재사용성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상속(Inheritance)에 대해 깊이 파고들 것입니다.

상속은 마치 부모가 자녀에게 유전자를 물려주듯이, 기존 클래스의 특성과 기능을 새로운 클래스가 물려받아 자신의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미 잘 만들어진 코드를 재활용하고, 거기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변경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유연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2025/07/15

8. Swift 프로퍼티와 메서드: 객체의 속성과 동작 정의하기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는 열거형을 통해 관련된 값들을 하나의 타입으로 묶는 방법을 배웠고, 그전에는 구조체와 클래스를 통해 사용자 정의 타입을 만드는 방법을 익혔죠. 오늘은 이렇게 정의한 타입들이 어떤 데이터(속성)를 가지고, 어떤 행동(동작)을 할 수 있는지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프로퍼티(Property)와 메서드(Method)입니다.

프로퍼티와 메서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인 캡슐화(Encapsulation)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들을 통해 우리는 실제 세계의 객체처럼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코드 안에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2025/07/12

7. Swift 열거형(Enum): 관련된 값들을 하나의 타입으로 묶는 방법

Swift 열거형(Enum)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는 여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컬렉션 타입인 배열과 딕셔너리에 대해 마스터했습니다. 오늘은 Swift에서 관련된 값들을 그룹화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타입인 열거형(Enumeration), 줄여서 Enum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열거형은 단순히 값들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코드의 실수를 줄이고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마치 여러 옵션이 있는 메뉴판처럼, 정해진 선택지 안에서만 값을 선택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방지하고 코드의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2025/07/09

6. Swift 구조체(Struct)와 클래스(Class): Swift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6.Swift 구조체와 클래스 썸네일 이미지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서는 배열과 딕셔너리에 대해서 이해했습니다.

오늘은 Swift 프로그래밍의 가장 근간이 되는 두 가지 사용자 정의 데이터 타입, 바로 구조체(Struct)클래스(Class)에 대해 깊이 파고들 것입니다. 

구조체와 클래스는 데이터를 캡슐화하고, 관련된 기능들을 묶어서 관리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 둘은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이지만,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다루는 방식에 큰 차이가 있어 Swift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선택의 기로에 서게 합니다. 
언제 무엇을 사용해야 할지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견고하고 효율적인 앱을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5. Swift 컬렉션 타입: 배열(Array)과 딕셔너리(Dictionary) 마스터하기

5.  Swift 컬렉션 타입 썸네일 이미지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는 Swift 앱의 안정성을 책임지는 옵셔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이제 여러 개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묶어서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인 컬렉션 타입(Collection Type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wift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세 가지 주요 컬렉션 타입을 제공합니다.

배열(Array), 세트(Set), 그리고 딕셔너리(Dictionary). 이 세 가지 중에서 오늘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배열과 딕셔너리에 집중하여 마스터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들을 잘 활용하면 복잡한 데이터도 깔끔하게 정리하고 원하는 대로 다룰 수 있습니다.

2025/07/05

4. Swift 옵셔널(Optional): nil 안전하게 다루는 법

Swift Course 4. Swift 옵셔널 썸네일
지난 블로그에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주는 함수와 클로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Swift의 가장 독특하고 강력한 기능 중 하나이자, 여러분의 앱을 훨씬 더 안정적으로 만들어 줄 옵셔널(Optional)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옵셔널은 Swift가 nil 오류로부터 안전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적인 도구입니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null 또는 nil 값 때문에 런타임 오류(앱 크래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Swift는 옵셔널을 통해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