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Acto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Acto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07/23

20. Swift Concurrency: async/await와 Actor로 비동기 코드 간결하게 작성하기 (Swift 5.5+)

20. Swift Concurrency: async/await와 Actor로 비동기 코드 간결하게 작성하기 (Swift 5.5+)
안녕하세요! 이번 블로그에서는 Swift 5.5부터 공식 도입된, 비동기 코드를 훨씬 더 간결하고 안전하며 읽기 쉽게 만들어주는 혁신적인 기능들인 async/awaitActor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오랫동안 Swift에서의 비동기 코드는 클로저 기반의 콜백(Callback) 패턴으로 인해 "콜백 지옥(Callback Hell)"이라고 불리는 복잡한 중첩 구조와 순환 참조 문제로 개발자들을 괴롭혀왔습니다. 하지만 Apple은 Swift 5.5부터 새로운 구조화된 동시성(Structured Concurrency) 모델을 도입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경쟁(Data Race) 문제까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해법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블로그를 통해 Swift의 현대적인 비동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완전히 이해하고 여러분의 앱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 보세요!

2025/07/20

13. Swift 동시성(Concurrency): 비동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서는 앱의 안정성을 높이는 오류 처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죠. 오늘은 앱 개발에서 사용자 경험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개념, 바로 동시성(Concurrency)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앱을 사용하다 보면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거나, 큰 파일을 처리하는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들이 있습니다. 이런 작업들을 메인 스레드(UI를 담당하는 스레드)에서 직접 처리하게 되면, 앱이 멈추거나 '버벅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 경험을 해치게 됩니다. 동시성은 이러한 시간을 많이 소모하는 작업을 메인 스레드와 별도의 스레드(혹은 태스크)에서 비동기적으로 실행하여,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계속 반응하도록 유지하는 기법입니다. 리스트 항목에서 이미지를 로딩하는데, 하나씩 로딩하면 리스트 보여주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됩니다. 이것을 별도의 스레드로 동작시키면, 조금 느리게 나오지만 리스트 이동하는 것에는 느려짐 없이 동작할 수 있게 됩니다.

Swift는 과거 콜백 기반의 복잡한 비동기 코드에서 벗어나, async/await와 액터(Actor)를 포함한 강력하고 현대적인 동시성 모델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