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 블로그에서는 Swift 코드를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제네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Swift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요소를 대표하며, 강력하지만 동시에 조심해서 다뤄야 하는 도구인 클로저(Closures)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특히, 클로저가 외부 값을 '캡처'하는 방식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순환 참조(Retain Cycle)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집중하겠습니다. 🕵️♀️
클로저는 코드 블록을 변수처럼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Swift의 핵심 기능입니다. 비동기 작업, 애니메이션, UI 이벤트 처리 등 다양한 곳에서 클로저를 사용하지만, 그 내부 동작, 특히 외부 변수를 '캡처'하는 메커니즘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메모리 누수로 이어지는 순환 참조라는 함정에 빠질 수 있습니다.